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일단 시도
- error:0308010C:digital envelope routines::unsupported
- 동적 계획법
- dfs
- 구현
- npm start
- 너비 우선 탐색
- 배낭 문제
- bfs
- 그래프탐색
- lazy evaluation
- 정처기 필기
- 클래스
- 수학
- 최장공통부분문자열
- LCS 알고리즘
- Python
- 그래프 이론
- 그래프 탐색
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- 깊이 우선 탐색
- 문자열
- Container vs VM
- Docker 원리
- 냅색 알고리즘
- db replication
- 최장공통부분수열
- 나는 바보야...
- 파이썬
- 모듈러 연산 분배법칙
- Today
- Total
목록파이썬 (3)
Save my data
클래스를 만들 때 생성자 혹은 다른 멤버함수에 첫 번째 인자로 보통 self를 쓴다.파이썬 외의 다른 언어에서도 this라는 이름으로 쓰여지는 이 self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.class Test: def func1(): print("func1() 실행됨") def func2(self): print(self) print(id(self))test_obj = Test()print(test_obj.func1())# >>> TypeError: Test.func1() takes 0 positional arguments but 1 was given Test 클래스를 정의하고 있다.Test 클래스 내부에는 두 개의 멤버함수가 있다.func1 에는 아무 인자도 주어지지..
오늘은 파이썬의 클래스를 살펴보자.나는 이런 나무위키식 학습을 좋아한다.클래스 :사용자가 정의한 속성들이 있는 특정 객체들을 만들기위한 설계도파이썬의 클래스는 자신만의 네임스페이스를 가진다.클래스의 네임스페이스를 확인하고 싶다면 클래스이름.__dict__ 로 확인할 수 있다.Account.__dict__ class Account: total_accounts = 0 def __init__(self, client_name:str): self.client_name = client_name Account.total_accounts += 1 def __del__(self): Account.total_accounts -= 1 은행 계좌를 개설하는 클래스를 만들었..
DP 문제이다. DP 문제는 반복의 맨 처음 단계에서 어떤 패턴을 찾으면 그 다음은 빠르게 풀린다. 그리고 항상 그걸 못 찾아서 문제다... 다만 확실히 DP 문제를 풀면 풀수록 뇌가 DP 화 되는 느낌이 있다. 나 같은 범재도 이런식으로 반복하면 그래도 요령이 생기는구나 싶어서 보람은 있었다. ※ 결국 노력과 반복이 답이다... 문제 풀이 아이디어 공유 : 줄 == 가로방향, 칸 == 세로방향 먼저 각 줄의 i 번째까지 누적합을 저장해 줄 dp 리스트를 만든다. 0 으로 마진을 두는게 편해서 인덱스 번호는 항상 1 부터 시작하게 만드는 편이다. 다른 사람들은 그렇게 안 한 사람도 있었다. 누적합의 패턴이 어떤지는 모르지만 여타 DP 문제가 그래왔듯 이번에도 비슷하겠거니 싶어서 일단 그렇게 만들었다. 2..